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 그림검사(나주 혁신도시 굿프렌즈 심리상담센터)
작성자
친구
작성일
2017-07-24 19:56
조회
5839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 그림검사
최상열 박사
Ⅰ. 서 론
내담자가 그린 그림은 내담자 자신의 경험뿐만 아니라 독특한 내면세계를 솔직하게 표현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내담자의 그림을 분석해 봄으로써 내담자의 내면을 더욱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는 심리적 진단자료로서의 가치가 오래전부터 인정되어 왔다(최외선 외, 2006).
투사적 그림검사는 그림을 통하여 개인의 삶의 내용을 읽을 수 있으며, 의식과 무의식에 있는 감정들을 반영해 준다. 현실적인 면에서 다른 어떤 검사도구보다 간편하고 경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림이란 언어적 진술보다 훨씬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매체로서, 검사 대상자가 다른 진단 상황에 비해 이완된 상태가 될 수 있다(정여주, 2003).
PPAT는 그림검사의 재료는 이전의 투사적 그림검사에서 사용된 종이보다 큰 종이인 8절지를 사용하고, 색칠이 가능한 미술재료인 마커 12색(빨강, 노랑, 주황, 밝은 파랑, 파랑, 연구, 녹색, 갈색, 고동, 분홍, 보라, 검정)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재료의 특성은 지우개로 지울 수 없다는 점과 색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내담자들의 정서와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박현주․안이환, 2008).
사과나무는 비교적 범문화적으로 친숙한 주제이며 다양한 연령과 사람들에게 적용가능하다. PPAT의 특성을 동작성이 있으며 그린 사람의 문제해결방식을 볼 수 있다는 점으로, 보다 풍부한 진단적 정보를 제공한다. HTP처럼 나무와 사람이 나타나지만 집을 그리지는 않고, 한 장의 정이에 그리며 동작성이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그러나 KFD, KHTP와 같은 진단도구는 동작성 있는 그림이지만 문제해결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구별이 된다고 할 수 있다(김민아, 2009).
이에 본 과제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PPAT 그림검사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검사의 유효성을 살펴보고 연구동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PPAT: Person Picking Apple from a Tree)
(PPAT: Person Picking Apple from a Tree)는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 그리기'라는 그림검사이다. Gantt와 Tabone이 1998년 "미술치료 척도의 형식 요소들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이란 책에서 PPAT는 임상가와 연구자들에게 표준화된 그림과 그것을 연구할 과학적인 평가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그림검사는 미술치료 평가 보고서로서 환자의 임상적인 상태와 치료에 대한 반응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그 이유는 PPAT가 다양한 그룹간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박현주․안이환, 2008).
Gantt와 Tabone은 정신병원에서 정신분열증 환자, 양극성 장애(조증 상태), 주요 우울증 환자, 정신지체인을 대상으로 1986년부터 그림을 모으기 시작해서 5.000여명으로부터 그림을 모아 연구한 결과 DSM-Ⅳ에서 정의하는 장애 증상과 FEATS 척도간의 연관성을 발견하고 표로 정리하였다. 예를 든다면 주요 우울 장애는 DSM-Ⅳ에서 장애 증상으로 기록된 '우울한 정서'는 색의 결핍 또는 어두운 색 사용과 연관되고, 또한 우울 장애의 또 다른 특징인 에너지의 감소, 정신 운동의 지연, 감소된 흥미'는 각각 제한된 공간 사용과 낮은 에너지, 세부묘사의 부족과 관련된다는 결론을 발견하게 되었다(김민아, 2009).
PPAT가 다른 그림검사와 구별되는 점은 HTP 그림검사처럼 나무와 사람이 나타나지만 집을 그린 사람의 문제해결 방식을 볼 수 있다는 면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다. 동작성이 가미된 그림검사로는 Kinetic House-Tree-Person(1987)과 Kinetic Family Drawing(Burns, 1982: Burns & Kaufman, 1970, 1972)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림들은 동작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유사성이 있으나 PPAT는 제시된 주제가 문제해결을 요구하고 있고 구체적인 대상과 해결방법을 그리는 것이므로 그린 사람의 문제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김은주, 2005).
Lehmann과 Risquez(1953)는 미술의 초기 진단에는 네 가지의 요소가 만족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한 요소는 첫째, 그 진단적 도구는 환자들의 예술적인 재능의 정도나, 관심사, 직업이나 지능과 상관없이 어떠한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환자의 그림표현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장기간의 시간이 흘러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만 한다. 셋째, 서로 다른 환자들의 그림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어떠한 관찰이나 면접을 통한 부가적인 정보가 없이도 그림의 평가를 통해 화자들의 임상적인 상황에 관한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Gantt와 Tabone은 위와 같은 미술의 초기 진단에 필요한 요소를 PPAT가 만족시키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요구는 PPAT가 사과나무라는 비교적 범문화적으로 친숙한 주제를 사용함으로 다양한 연령과 사람들에게 적용할 수 있고, 주제 제시로 인한 동일한 내용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간의 경과성을 가지며, 환자들의 그림을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의할 수 있는 주장이다. PPAT는 그림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하는 분석적 접근에서 FEATS를 통해서는 형식적인 면을, 내용적인 측면은 내용척도를 통해 접근하고 있다(김은주, 2005).
2.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의 해석방법과 지표
PPAT의 그림은 형식적인 부분과 내용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채점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형식 척도 : FEATS(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ale)
FEATS는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0~5점으로 이루어진 6점 척도이다.
<표 1>형식 척도의 구성요소
번호
항 목
번호
항 목
1
색칠 정도
8
문제 해결력
2
색의 적절성
9
발달 단계
3
내적 에너지
10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
4
공간
11
선의 질
5
통합
12
사람
6
논리성
13
기울기
7
사실성
14
반복성
① 색칠 정도(Prominence of Color)
전체의 그림에서 얼마나 많은 색을 사용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형태의 윤곽에만 색을 사용했는지, 형태 안이나 배경에도 색칠을 했는지를 측정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형태의 테두리선에만 색 사용
2 한 가지에 색칠이 되어 있음
3 두 개 이상의 항목에 색칠되어 있음
4 모든 대상에 색칠되어 있음
5 공간까지도 색칠되어 있음
② 색의 적절성(Color Fit)
그림에 사용된 색이 대상을 묘사하는데 적절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한 가지 색만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밝은 파랑, 보라, 주황, 노랑, 분홍색을 사용한 경우는 1점, 빨강, 연두, 초록, 갈색, 고동, 검정색으로 그린 경우는 2점으로 채점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한 가지 색 사용-밝은 파랑, 보라, 주황, 노랑, 분홍색
2 한 가지 색 사용-빨강, 연두, 초록, 갈색, 고동, 검정색
3 몇 가지 색이 적합하게 사용됨
4 대부분 색이 적합하게 사용됨
5 모든 색이 적합하게 사용됨
③ 내적 에너지(Implied Energy)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된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색칠의 정도, 선의 질, 공간의 사용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눈이 필요하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최소한의 에너지
2 적은 에너지
3 보통 에너지
4 상당한 에너지
5 과도한 에너지
④ 공간(Space)
그림 그릴 때 사용한 공간의 양을 측정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25% 미만의 공간을 사용함
2 25%~50%의 공간을 사용함
3 50% 이상의 공간을 사용함
4 75% 이상의 공간은 사용함
5 100% 사용함
⑤ 통합(Integration)
구성이 통합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각 항목들이 전체적으로 관련성이 있고, 조화를 이루는 정도를 측정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전혀 통합되지 않음
2 최소 2개 요소가 가깝지만 관련성이 없음
3 2가지 요소간의 관계가 있음
4 3가지 이상 관련이 있음
5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며 잘 통합됨
⑥ 논리성(Logic)
제시된 과제에 알맞은 구성의 논리적인 그림인지 비논리적인 그림인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항목은 추상적인 사고력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과나무 대신에 크리스마스트리를 그리는 경우이다. 그러나 기괴하고 비논리적인 반응과 구별되게 의도적으로 해학적이고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경우는 채점에 포합시키지 않는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적당하지 않은 요소 4개 이상
2 적당하지 않은 요소 3개
3 적당하지 않은 요소 2개
4 적당하지 않은 요소 1개
5 완전히 논리적임
⑦ 사실성(Realism)
각 항목이 사실적으로 그려진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사람이나 사과, 나무를 확인할 수 없음
2 그림의 항목은 구분 가능하나 매우 단순한 단일 선으로 형태만 그림
3 항목이 어느 정도 구체적임(예: 줄기, 가지, 잎을 가진 나무)
4 비교적 사실적임(예: 나무가 뚜렷한 줄기, 가지, 잔가지, 잎과 줄기에 나뭇결표시가 있음)
5 3차원적으로 잘 그려짐(예: 3차원 줄기를 나타내는 양감의 표현이 있음)
⑧ 문제해결력(Problem Solving)
그림 속의 사람이 나무에서 사과를 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다. 삶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개인의 방법과 능력을 나타낸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사과가 손에도 바구니에도 없음
2 사람이 사과를 손이나 바구니에 가지고 있으나 어떻게 가졌는지 알 수 없으며 사 람이 사과나무를 향하고 있지 않음
3 사과를 가지고 있거나 땄으나 비현실적인 해결책을 사용함
4 사람은 땅에 있거나 다른 현실적인 받침(사다리, 바위)이 있고, 사과를 향하고 있음
5 사과를 손에 가지고 있음
⑨ 발달단계(Development Level)
Lowenfeld의 발단단계에 따라 그림의 발달수준을 평가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난화 형태
2 4~6세: 기저선이 없고, 사람의 팔이 머리에서 나오고, 기하학적인 사람 표현
3 7세 이후 아동기: 기저선이나 하늘선이 보이고 대상은 기저선 위에 있음
4 청소년수준의 그림: 대상은 실제 크기이고, 다른 대상과 관계가 있으며 겹쳐지기도 함
5 성인 수준의 그림: 예술적인 세련됨이 보임
⑩ 대상물의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Details of Objects & Environment)
대상물의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이 얼마나 다양하게 묘사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단순하게 그려진 사람, 나무, 사과 외에 기타 묘사가 없음
2 사람, 나무, 사과 이외에 기저선이나 풀이 있음
3 사람, 나무, 사과가 있고 지평선이나 한 두 개의 부가적 첨가물이 있음(예: 꽃, 해, 나비, 새 등)
4 주요 항목에 부가물이 있고, 많은 주변 환경물이 있음(예: 구름, 새, 다른 나무, 장 식물, 머리띠, 허리 벨트 등)
5 모든 주요 항목에 부가물이 있고, 독창적이고 풍부한 주변 환경을 묘사(울타리, 집, 모자, 특별한 장식의 옷)
⑪ 선의 질(Line Quality)
선이 얼마나 잘 통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산만하고 조절되지 않은 선
2 손의 떨림이 느껴지는 선
3 부분적으로는 잘 연결되어 있고 일부분은 끊어지고 점으로 그려진 선
4 잘 조절된 선
5 지나치게 강하고 흐르는 듯한 선
⑫ 사람(Person)
신체상의 왜곡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왜곡되거나 생략된 부분이 없는 삼차원의 신체상을 그린 그림이 건강하다고 본다.
0 그림은 전혀 그리지 않음
1 사람의 형태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2 신체의 일부만 있거나 단순화된 형태
3 최소한 동그라미 머리 형태를 가진 막대기 형태의 사람이 있다.
4 일부 손상된 신체상을 그렸다.
5 생략된 부분이 없는 3차원적인 신체상을 그렸다.
⑬ 기울기(Rotation)=변환성
나무나 사람의 표현에 있어서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1점에서 5점으로 갈수록 기울기는 수평에서 수직을 이루어 변환성이 없으면 5점으로 채점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⑤
1 ④ ④
2 ③ ③
3 ② ②
4
5 ① ①
⑭ 보속성(Perseveration)
단순한 시각 요소 또는 원동적 행동의 반복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1점은 상당한 보속성이 있는 경우이고, 보속성이 없으면 5점으로 채점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상당한 보속성이 있다(예: 선을 그리고 또 그려져 움푹 들어갈 정도로 종이가 닳았 다).
2 많은 양의 보속성이 있다.
3 중간정도의 보속성이 있다(예: 다수의 가지로 보이는 작은 흔적과 같은 것이나, 오 직 한 영역에만 선이 반복적으로 그려졌다).
4 아주 약간의 보속성이 있다.
5 보속성이 없다.
2) 내용 척도(The Content Scales)
그림 속의 내용을 질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형식척도에서는 그림 속의 색사용이나 세부묘사의 양을 측정하지만, 내용척도에서는 어떤 색을 사용했는지 어떤 세부묘사가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평가한다. 내용척도의 하위 요소인 13개의 척도는 그림들 속에서 볼 수 있는 상당한 양의 정보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척도는 그림의 내용의 어떠한 면이 얼마나 많은 양으로 각 집단에서 나타나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① 용지의 방향(Orientation of Picture)
: 그림의 방향은 가로와 세로 중 어느 방향을 선택했는지를 알아보았다.
• 가로 • 세로
②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의 수(Color Used in the Whole Picture)
: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은 그림에 사용된 구체적인 색상들을 측정한다. FEATS척도가 색칠의 정도와 색을 적합하게 사용하는가를 평가한 반면 이 척도는 어떤 특정 색의 사용 여부와 그 가짓수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이 척도는 개인이 사용한 색을 표시해 그러한 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해 준다. 한 색상만 사용한 경우도 형식적인 구성요소인 FEATS척도에서 다른 값을 주는 것을 앞에서 언급하였는데 이 내용척도에서 그것이 노란 색인지 파란 색인지 구분 할 수 있으며 또한 제시된 표를 통해 정상인과 정신장애인과의 구분된 색 사용을 명확히 알 수 있게 해준다.
③ 사람(Person)
: 사람의 유․무는 그것을 그린 사람에 대한 많은 정보를 준다. 제시된 주제에 사람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사람이 그림 안에 나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때로 사람이 없다면 인지나 정신적인 특성에 관한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 사람 없음 • 사람 있음
④ 사람에 사용된 색(Color Used for Person)
: 사람에 사용된 색은 옷을 포함하여 사람에 사용된 모든 색을 표시한다. 사람에 사용된 색은 아주 중요한 정보를 줌으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한 가지 색을 사용했는지 색을 다양하게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고 참여자가 주로 사용하는 색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다. 주로 머리는 검정색이고 노란색과 갈색은 살색으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⑤ 사람의 성(Gender)
: 그려진 사람의 성별은 3차 성징들-유방, 턱수염, 옷의 색, 신체의 모양, 헤어스타일 그리고 부속물 등의 많은 단서들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때로 그린 사람의 언어적 보고를 필요로 하지만 PPAT의 경우 그린 사람에게 질문을 하지 않으므로 주의해서 채점해야 한다.
• 평가할 수 없다 • 분명한 남성 • 모호한 남성 • 분명한 여성 • 모호한 여성
⑥ 사람의 실제적인 에너지(Actual Energy of Person)
: 사람의 실제적인 에너지는 그 내용이 분명해서 상대적으로 채점하기 쉬울 뿐 아니라 PPAT그림에서 특징적으로 볼 수 있는 요소들이 있다. 상자나 사다리는 나무에서 열매를 따는 것과 관련해 볼 수 있는 항목들이고 둥둥 떠 있는 사람이나 매달린 사람의 형태도 마찬가지로 주제가 가져다 준 다양한 정보들이다.
• 엎드려 있다 • 앉아 있다 • 땅에 서 있다 • 사다리(받침대)에 서 있다.
• 방향 없음 • 사과나무 향함 • 둥둥 떠 있다 • 매달려 있다
• 뛰어 오른다 • 뛰어 내리다 • 기어오른다 • 날고 있다 • 기타
⑦ 사람의 얼굴방향(Orientation of Person's Face)
: 사람 얼굴 방향 내용척도는 '아무것도 향하고 있지 않다', '사과나무를 향하고 있다'가 얼굴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아니면 몸과 얼굴의 방향이 다른지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특별한 지시가 없는 그림검사에서 정면이 많이 나오는 반면 PPAT에서는 사과나무와의 역동으로 인해 옆얼굴이 많이 그려질 것이라는 가정을 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항목에서는 얼굴의 방향과 함께 얼굴에 생김새를 그리는지 아니면 생략하는지의 여부도 기록할 수 있어 신체 왜곡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 평가할 수 없다 • 정면-생김새 없다 • 정면-생김새 있다
• 옆얼굴 • 얼굴의 3/4 보임 • 뒷모습
⑧ 나이(Approximate Age of Person)
: 그리 속 사람의 추정되는 나이가 다른 것은 성장기에 있는 경우 자신의 나이와 관련되어 그릴 것이라는 가정을 내리기 쉽다. 그러나 성인의 그림의 경우 그려진 주요한 사람의 나이가 아기나 어린이라면 이 항목은 발달 수준이나 심리적 특성과 관련한 정보일 가능성이 있다.
• 평가할 수 없다 • 아기, 어린이 • 청소년, 성인
⑨ 옷(Clothing)
: 나무막대기의 형태나 기하학적인 사람의 형태여서 옷이 없는 그림은 구분하기가 쉽다. 반면 옷으로 추측되는 옷의 경우는 색을 사람과 다르게 사용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잘 그려진 옷과 구분된다. 환자가 아닌 정상인은 환자보다 더 적당한 옷을 그리는가? 이러한 옷의 유형에 따라 그룹간의 특성이 다를 것이라고 가정한다.
• 모자 • 옷이 없다(막대형 사람) • 나체 • 옷으로 추측 된다
• 잘 그려진 옷(사람과 다른 색으로 표현된 옷) • 전통 의상
⑩ 사과나무(Apple Tree)
: 사과나무의 요소 중 나무 가지 줄기 중 어느 한 가지 요소가 없어도 이 항목의 첫 번째 문제에 표시한다. 사과나무의 생략여부와 더불어 사과나무에서는 사과의 개수를 흥미 있게 볼 것이다.
• 사과나무나 가지, 줄기가 분명하지 않다 • 오로지 한 개의 사과만 있다
• 나무줄기는 없고 한 가지에 사과 한 개 달림
• 나무줄기, 수관이 있으면서 사과가 한 개 달림
• 2~10개의 사과 • 10개가 넘는 사과 • 사과가 수관의 가장자리에 위치
⑪ 사과나무의 색(Color of Apple Tree)
: 사과나무의 색은 빨간 사과 갈색 기둥 초록이나 연두색의 수관으로 이루어진 색의 적절성을 볼 수 있는 주제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색의 사용여부와 기타 독특한 색의 사용여부는 주의 깊게 살피면 진단적 가치가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나무기둥과 수관 사과를 나누어 표시하게 되어 있어 세부적인 요소를 나누어 색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한 가지 요소에 특정한 색으로만 사용했는지의 여부도 알 수 있게 할 것이다.
• 나무줄기: 1. 갈색(황토색) 2. 고동 3. 검정 4. 기타
• 수관: 1. 연두(진초록) 2. 기타
• 사과: 1. 빨강 2. 노랑 3. 주황 4. 연두(진초록) 5. 두 가지 색 이상 6. 기타
⑫ 주변 환경의 묘사(Environmental Details)
: PPAT에는 '사람, 사과나무, 사과' 이 세 가지의 기본 구성요소 외에도 주변 환경 묘사가나타나곤 하는데 주제와의 관련성이나 그 양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다양한 질문을 이 항목과 관련해 가정할 수 있다. 이 항목은 아주 구체적으로 어떤 환경의 묘사를 하는지 자세한 기록이 가능하다.
• 없다
• 자연물: 1. 해, 일출, 일몰 2. 잔디와 지평선 3. 꽃 4. 다른 나무
5. 구름, 비, 바람 6. 산과 언덕 7. 호수와 연못 8. 시냇물, 강, 작은 내
9. 하늘 10. 무지개
• 동물: 1. 개 2. 고양이 3. 소, 양, 농장동물들 4. 나비 5. 기타
6. 상상의 동물
• 무생물: 1. 울타리 2. 집 3. 길, 도로 4. 자동차, 트럭, 마차, 기타
5. 사다리 6. 바구니, 상자, 컨테이너 7. 사과 따는 기구, 막대기
8. 사인 9. 기타
⑬ 다른 형태들(Other Features)
: 다른 형태들 항목에서 정신 병리와 관련해 주제와 관련이 없는 숫자나 글쓰기의 사례가 나오는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 글쓰기(사인 이외의 것) • 숫자(날짜 이외의 것) • 기하학적인 형태
• 표면상의 무질서한 기호들 • 기타
최상열 박사
Ⅰ. 서 론
내담자가 그린 그림은 내담자 자신의 경험뿐만 아니라 독특한 내면세계를 솔직하게 표현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내담자의 그림을 분석해 봄으로써 내담자의 내면을 더욱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는 심리적 진단자료로서의 가치가 오래전부터 인정되어 왔다(최외선 외, 2006).
투사적 그림검사는 그림을 통하여 개인의 삶의 내용을 읽을 수 있으며, 의식과 무의식에 있는 감정들을 반영해 준다. 현실적인 면에서 다른 어떤 검사도구보다 간편하고 경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림이란 언어적 진술보다 훨씬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매체로서, 검사 대상자가 다른 진단 상황에 비해 이완된 상태가 될 수 있다(정여주, 2003).
PPAT는 그림검사의 재료는 이전의 투사적 그림검사에서 사용된 종이보다 큰 종이인 8절지를 사용하고, 색칠이 가능한 미술재료인 마커 12색(빨강, 노랑, 주황, 밝은 파랑, 파랑, 연구, 녹색, 갈색, 고동, 분홍, 보라, 검정)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재료의 특성은 지우개로 지울 수 없다는 점과 색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내담자들의 정서와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박현주․안이환, 2008).
사과나무는 비교적 범문화적으로 친숙한 주제이며 다양한 연령과 사람들에게 적용가능하다. PPAT의 특성을 동작성이 있으며 그린 사람의 문제해결방식을 볼 수 있다는 점으로, 보다 풍부한 진단적 정보를 제공한다. HTP처럼 나무와 사람이 나타나지만 집을 그리지는 않고, 한 장의 정이에 그리며 동작성이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그러나 KFD, KHTP와 같은 진단도구는 동작성 있는 그림이지만 문제해결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구별이 된다고 할 수 있다(김민아, 2009).
이에 본 과제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PPAT 그림검사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검사의 유효성을 살펴보고 연구동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PPAT: Person Picking Apple from a Tree)
(PPAT: Person Picking Apple from a Tree)는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 그리기'라는 그림검사이다. Gantt와 Tabone이 1998년 "미술치료 척도의 형식 요소들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이란 책에서 PPAT는 임상가와 연구자들에게 표준화된 그림과 그것을 연구할 과학적인 평가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그림검사는 미술치료 평가 보고서로서 환자의 임상적인 상태와 치료에 대한 반응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그 이유는 PPAT가 다양한 그룹간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박현주․안이환, 2008).
Gantt와 Tabone은 정신병원에서 정신분열증 환자, 양극성 장애(조증 상태), 주요 우울증 환자, 정신지체인을 대상으로 1986년부터 그림을 모으기 시작해서 5.000여명으로부터 그림을 모아 연구한 결과 DSM-Ⅳ에서 정의하는 장애 증상과 FEATS 척도간의 연관성을 발견하고 표로 정리하였다. 예를 든다면 주요 우울 장애는 DSM-Ⅳ에서 장애 증상으로 기록된 '우울한 정서'는 색의 결핍 또는 어두운 색 사용과 연관되고, 또한 우울 장애의 또 다른 특징인 에너지의 감소, 정신 운동의 지연, 감소된 흥미'는 각각 제한된 공간 사용과 낮은 에너지, 세부묘사의 부족과 관련된다는 결론을 발견하게 되었다(김민아, 2009).
PPAT가 다른 그림검사와 구별되는 점은 HTP 그림검사처럼 나무와 사람이 나타나지만 집을 그린 사람의 문제해결 방식을 볼 수 있다는 면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다. 동작성이 가미된 그림검사로는 Kinetic House-Tree-Person(1987)과 Kinetic Family Drawing(Burns, 1982: Burns & Kaufman, 1970, 1972)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림들은 동작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유사성이 있으나 PPAT는 제시된 주제가 문제해결을 요구하고 있고 구체적인 대상과 해결방법을 그리는 것이므로 그린 사람의 문제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김은주, 2005).
Lehmann과 Risquez(1953)는 미술의 초기 진단에는 네 가지의 요소가 만족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한 요소는 첫째, 그 진단적 도구는 환자들의 예술적인 재능의 정도나, 관심사, 직업이나 지능과 상관없이 어떠한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환자의 그림표현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장기간의 시간이 흘러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만 한다. 셋째, 서로 다른 환자들의 그림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어떠한 관찰이나 면접을 통한 부가적인 정보가 없이도 그림의 평가를 통해 화자들의 임상적인 상황에 관한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Gantt와 Tabone은 위와 같은 미술의 초기 진단에 필요한 요소를 PPAT가 만족시키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요구는 PPAT가 사과나무라는 비교적 범문화적으로 친숙한 주제를 사용함으로 다양한 연령과 사람들에게 적용할 수 있고, 주제 제시로 인한 동일한 내용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간의 경과성을 가지며, 환자들의 그림을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의할 수 있는 주장이다. PPAT는 그림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하는 분석적 접근에서 FEATS를 통해서는 형식적인 면을, 내용적인 측면은 내용척도를 통해 접근하고 있다(김은주, 2005).
2.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의 해석방법과 지표
PPAT의 그림은 형식적인 부분과 내용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채점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형식 척도 : FEATS(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ale)
FEATS는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0~5점으로 이루어진 6점 척도이다.
<표 1>형식 척도의 구성요소
번호
항 목
번호
항 목
1
색칠 정도
8
문제 해결력
2
색의 적절성
9
발달 단계
3
내적 에너지
10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
4
공간
11
선의 질
5
통합
12
사람
6
논리성
13
기울기
7
사실성
14
반복성
① 색칠 정도(Prominence of Color)
전체의 그림에서 얼마나 많은 색을 사용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형태의 윤곽에만 색을 사용했는지, 형태 안이나 배경에도 색칠을 했는지를 측정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형태의 테두리선에만 색 사용
2 한 가지에 색칠이 되어 있음
3 두 개 이상의 항목에 색칠되어 있음
4 모든 대상에 색칠되어 있음
5 공간까지도 색칠되어 있음
② 색의 적절성(Color Fit)
그림에 사용된 색이 대상을 묘사하는데 적절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한 가지 색만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밝은 파랑, 보라, 주황, 노랑, 분홍색을 사용한 경우는 1점, 빨강, 연두, 초록, 갈색, 고동, 검정색으로 그린 경우는 2점으로 채점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한 가지 색 사용-밝은 파랑, 보라, 주황, 노랑, 분홍색
2 한 가지 색 사용-빨강, 연두, 초록, 갈색, 고동, 검정색
3 몇 가지 색이 적합하게 사용됨
4 대부분 색이 적합하게 사용됨
5 모든 색이 적합하게 사용됨
③ 내적 에너지(Implied Energy)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된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색칠의 정도, 선의 질, 공간의 사용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눈이 필요하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최소한의 에너지
2 적은 에너지
3 보통 에너지
4 상당한 에너지
5 과도한 에너지
④ 공간(Space)
그림 그릴 때 사용한 공간의 양을 측정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25% 미만의 공간을 사용함
2 25%~50%의 공간을 사용함
3 50% 이상의 공간을 사용함
4 75% 이상의 공간은 사용함
5 100% 사용함
⑤ 통합(Integration)
구성이 통합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각 항목들이 전체적으로 관련성이 있고, 조화를 이루는 정도를 측정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전혀 통합되지 않음
2 최소 2개 요소가 가깝지만 관련성이 없음
3 2가지 요소간의 관계가 있음
4 3가지 이상 관련이 있음
5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며 잘 통합됨
⑥ 논리성(Logic)
제시된 과제에 알맞은 구성의 논리적인 그림인지 비논리적인 그림인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항목은 추상적인 사고력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과나무 대신에 크리스마스트리를 그리는 경우이다. 그러나 기괴하고 비논리적인 반응과 구별되게 의도적으로 해학적이고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경우는 채점에 포합시키지 않는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적당하지 않은 요소 4개 이상
2 적당하지 않은 요소 3개
3 적당하지 않은 요소 2개
4 적당하지 않은 요소 1개
5 완전히 논리적임
⑦ 사실성(Realism)
각 항목이 사실적으로 그려진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사람이나 사과, 나무를 확인할 수 없음
2 그림의 항목은 구분 가능하나 매우 단순한 단일 선으로 형태만 그림
3 항목이 어느 정도 구체적임(예: 줄기, 가지, 잎을 가진 나무)
4 비교적 사실적임(예: 나무가 뚜렷한 줄기, 가지, 잔가지, 잎과 줄기에 나뭇결표시가 있음)
5 3차원적으로 잘 그려짐(예: 3차원 줄기를 나타내는 양감의 표현이 있음)
⑧ 문제해결력(Problem Solving)
그림 속의 사람이 나무에서 사과를 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다. 삶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개인의 방법과 능력을 나타낸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사과가 손에도 바구니에도 없음
2 사람이 사과를 손이나 바구니에 가지고 있으나 어떻게 가졌는지 알 수 없으며 사 람이 사과나무를 향하고 있지 않음
3 사과를 가지고 있거나 땄으나 비현실적인 해결책을 사용함
4 사람은 땅에 있거나 다른 현실적인 받침(사다리, 바위)이 있고, 사과를 향하고 있음
5 사과를 손에 가지고 있음
⑨ 발달단계(Development Level)
Lowenfeld의 발단단계에 따라 그림의 발달수준을 평가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난화 형태
2 4~6세: 기저선이 없고, 사람의 팔이 머리에서 나오고, 기하학적인 사람 표현
3 7세 이후 아동기: 기저선이나 하늘선이 보이고 대상은 기저선 위에 있음
4 청소년수준의 그림: 대상은 실제 크기이고, 다른 대상과 관계가 있으며 겹쳐지기도 함
5 성인 수준의 그림: 예술적인 세련됨이 보임
⑩ 대상물의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Details of Objects & Environment)
대상물의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이 얼마나 다양하게 묘사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단순하게 그려진 사람, 나무, 사과 외에 기타 묘사가 없음
2 사람, 나무, 사과 이외에 기저선이나 풀이 있음
3 사람, 나무, 사과가 있고 지평선이나 한 두 개의 부가적 첨가물이 있음(예: 꽃, 해, 나비, 새 등)
4 주요 항목에 부가물이 있고, 많은 주변 환경물이 있음(예: 구름, 새, 다른 나무, 장 식물, 머리띠, 허리 벨트 등)
5 모든 주요 항목에 부가물이 있고, 독창적이고 풍부한 주변 환경을 묘사(울타리, 집, 모자, 특별한 장식의 옷)
⑪ 선의 질(Line Quality)
선이 얼마나 잘 통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산만하고 조절되지 않은 선
2 손의 떨림이 느껴지는 선
3 부분적으로는 잘 연결되어 있고 일부분은 끊어지고 점으로 그려진 선
4 잘 조절된 선
5 지나치게 강하고 흐르는 듯한 선
⑫ 사람(Person)
신체상의 왜곡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왜곡되거나 생략된 부분이 없는 삼차원의 신체상을 그린 그림이 건강하다고 본다.
0 그림은 전혀 그리지 않음
1 사람의 형태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2 신체의 일부만 있거나 단순화된 형태
3 최소한 동그라미 머리 형태를 가진 막대기 형태의 사람이 있다.
4 일부 손상된 신체상을 그렸다.
5 생략된 부분이 없는 3차원적인 신체상을 그렸다.
⑬ 기울기(Rotation)=변환성
나무나 사람의 표현에 있어서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1점에서 5점으로 갈수록 기울기는 수평에서 수직을 이루어 변환성이 없으면 5점으로 채점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⑤
1 ④ ④
2 ③ ③
3 ② ②
4
5 ① ①
⑭ 보속성(Perseveration)
단순한 시각 요소 또는 원동적 행동의 반복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1점은 상당한 보속성이 있는 경우이고, 보속성이 없으면 5점으로 채점한다.
0 그림을 전혀 그리지 않음
1 상당한 보속성이 있다(예: 선을 그리고 또 그려져 움푹 들어갈 정도로 종이가 닳았 다).
2 많은 양의 보속성이 있다.
3 중간정도의 보속성이 있다(예: 다수의 가지로 보이는 작은 흔적과 같은 것이나, 오 직 한 영역에만 선이 반복적으로 그려졌다).
4 아주 약간의 보속성이 있다.
5 보속성이 없다.
2) 내용 척도(The Content Scales)
그림 속의 내용을 질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형식척도에서는 그림 속의 색사용이나 세부묘사의 양을 측정하지만, 내용척도에서는 어떤 색을 사용했는지 어떤 세부묘사가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평가한다. 내용척도의 하위 요소인 13개의 척도는 그림들 속에서 볼 수 있는 상당한 양의 정보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척도는 그림의 내용의 어떠한 면이 얼마나 많은 양으로 각 집단에서 나타나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① 용지의 방향(Orientation of Picture)
: 그림의 방향은 가로와 세로 중 어느 방향을 선택했는지를 알아보았다.
• 가로 • 세로
②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의 수(Color Used in the Whole Picture)
: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은 그림에 사용된 구체적인 색상들을 측정한다. FEATS척도가 색칠의 정도와 색을 적합하게 사용하는가를 평가한 반면 이 척도는 어떤 특정 색의 사용 여부와 그 가짓수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이 척도는 개인이 사용한 색을 표시해 그러한 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해 준다. 한 색상만 사용한 경우도 형식적인 구성요소인 FEATS척도에서 다른 값을 주는 것을 앞에서 언급하였는데 이 내용척도에서 그것이 노란 색인지 파란 색인지 구분 할 수 있으며 또한 제시된 표를 통해 정상인과 정신장애인과의 구분된 색 사용을 명확히 알 수 있게 해준다.
③ 사람(Person)
: 사람의 유․무는 그것을 그린 사람에 대한 많은 정보를 준다. 제시된 주제에 사람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사람이 그림 안에 나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때로 사람이 없다면 인지나 정신적인 특성에 관한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 사람 없음 • 사람 있음
④ 사람에 사용된 색(Color Used for Person)
: 사람에 사용된 색은 옷을 포함하여 사람에 사용된 모든 색을 표시한다. 사람에 사용된 색은 아주 중요한 정보를 줌으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한 가지 색을 사용했는지 색을 다양하게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고 참여자가 주로 사용하는 색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다. 주로 머리는 검정색이고 노란색과 갈색은 살색으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⑤ 사람의 성(Gender)
: 그려진 사람의 성별은 3차 성징들-유방, 턱수염, 옷의 색, 신체의 모양, 헤어스타일 그리고 부속물 등의 많은 단서들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때로 그린 사람의 언어적 보고를 필요로 하지만 PPAT의 경우 그린 사람에게 질문을 하지 않으므로 주의해서 채점해야 한다.
• 평가할 수 없다 • 분명한 남성 • 모호한 남성 • 분명한 여성 • 모호한 여성
⑥ 사람의 실제적인 에너지(Actual Energy of Person)
: 사람의 실제적인 에너지는 그 내용이 분명해서 상대적으로 채점하기 쉬울 뿐 아니라 PPAT그림에서 특징적으로 볼 수 있는 요소들이 있다. 상자나 사다리는 나무에서 열매를 따는 것과 관련해 볼 수 있는 항목들이고 둥둥 떠 있는 사람이나 매달린 사람의 형태도 마찬가지로 주제가 가져다 준 다양한 정보들이다.
• 엎드려 있다 • 앉아 있다 • 땅에 서 있다 • 사다리(받침대)에 서 있다.
• 방향 없음 • 사과나무 향함 • 둥둥 떠 있다 • 매달려 있다
• 뛰어 오른다 • 뛰어 내리다 • 기어오른다 • 날고 있다 • 기타
⑦ 사람의 얼굴방향(Orientation of Person's Face)
: 사람 얼굴 방향 내용척도는 '아무것도 향하고 있지 않다', '사과나무를 향하고 있다'가 얼굴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아니면 몸과 얼굴의 방향이 다른지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특별한 지시가 없는 그림검사에서 정면이 많이 나오는 반면 PPAT에서는 사과나무와의 역동으로 인해 옆얼굴이 많이 그려질 것이라는 가정을 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항목에서는 얼굴의 방향과 함께 얼굴에 생김새를 그리는지 아니면 생략하는지의 여부도 기록할 수 있어 신체 왜곡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 평가할 수 없다 • 정면-생김새 없다 • 정면-생김새 있다
• 옆얼굴 • 얼굴의 3/4 보임 • 뒷모습
⑧ 나이(Approximate Age of Person)
: 그리 속 사람의 추정되는 나이가 다른 것은 성장기에 있는 경우 자신의 나이와 관련되어 그릴 것이라는 가정을 내리기 쉽다. 그러나 성인의 그림의 경우 그려진 주요한 사람의 나이가 아기나 어린이라면 이 항목은 발달 수준이나 심리적 특성과 관련한 정보일 가능성이 있다.
• 평가할 수 없다 • 아기, 어린이 • 청소년, 성인
⑨ 옷(Clothing)
: 나무막대기의 형태나 기하학적인 사람의 형태여서 옷이 없는 그림은 구분하기가 쉽다. 반면 옷으로 추측되는 옷의 경우는 색을 사람과 다르게 사용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잘 그려진 옷과 구분된다. 환자가 아닌 정상인은 환자보다 더 적당한 옷을 그리는가? 이러한 옷의 유형에 따라 그룹간의 특성이 다를 것이라고 가정한다.
• 모자 • 옷이 없다(막대형 사람) • 나체 • 옷으로 추측 된다
• 잘 그려진 옷(사람과 다른 색으로 표현된 옷) • 전통 의상
⑩ 사과나무(Apple Tree)
: 사과나무의 요소 중 나무 가지 줄기 중 어느 한 가지 요소가 없어도 이 항목의 첫 번째 문제에 표시한다. 사과나무의 생략여부와 더불어 사과나무에서는 사과의 개수를 흥미 있게 볼 것이다.
• 사과나무나 가지, 줄기가 분명하지 않다 • 오로지 한 개의 사과만 있다
• 나무줄기는 없고 한 가지에 사과 한 개 달림
• 나무줄기, 수관이 있으면서 사과가 한 개 달림
• 2~10개의 사과 • 10개가 넘는 사과 • 사과가 수관의 가장자리에 위치
⑪ 사과나무의 색(Color of Apple Tree)
: 사과나무의 색은 빨간 사과 갈색 기둥 초록이나 연두색의 수관으로 이루어진 색의 적절성을 볼 수 있는 주제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색의 사용여부와 기타 독특한 색의 사용여부는 주의 깊게 살피면 진단적 가치가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나무기둥과 수관 사과를 나누어 표시하게 되어 있어 세부적인 요소를 나누어 색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한 가지 요소에 특정한 색으로만 사용했는지의 여부도 알 수 있게 할 것이다.
• 나무줄기: 1. 갈색(황토색) 2. 고동 3. 검정 4. 기타
• 수관: 1. 연두(진초록) 2. 기타
• 사과: 1. 빨강 2. 노랑 3. 주황 4. 연두(진초록) 5. 두 가지 색 이상 6. 기타
⑫ 주변 환경의 묘사(Environmental Details)
: PPAT에는 '사람, 사과나무, 사과' 이 세 가지의 기본 구성요소 외에도 주변 환경 묘사가나타나곤 하는데 주제와의 관련성이나 그 양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다양한 질문을 이 항목과 관련해 가정할 수 있다. 이 항목은 아주 구체적으로 어떤 환경의 묘사를 하는지 자세한 기록이 가능하다.
• 없다
• 자연물: 1. 해, 일출, 일몰 2. 잔디와 지평선 3. 꽃 4. 다른 나무
5. 구름, 비, 바람 6. 산과 언덕 7. 호수와 연못 8. 시냇물, 강, 작은 내
9. 하늘 10. 무지개
• 동물: 1. 개 2. 고양이 3. 소, 양, 농장동물들 4. 나비 5. 기타
6. 상상의 동물
• 무생물: 1. 울타리 2. 집 3. 길, 도로 4. 자동차, 트럭, 마차, 기타
5. 사다리 6. 바구니, 상자, 컨테이너 7. 사과 따는 기구, 막대기
8. 사인 9. 기타
⑬ 다른 형태들(Other Features)
: 다른 형태들 항목에서 정신 병리와 관련해 주제와 관련이 없는 숫자나 글쓰기의 사례가 나오는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 글쓰기(사인 이외의 것) • 숫자(날짜 이외의 것) • 기하학적인 형태
• 표면상의 무질서한 기호들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