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우울증(굿프렌즈심리상담센터)
작성자
친구
작성일
2019-12-12 14:42
조회
1041
2018년 통계청과 여성가족부에서 발표한 ‘2018년 청소년 통계(2018.4.25.배포)’에 따르면, 2007년 이후 청소년(9~24세)의 사망원인 1위는 ‘고의적인 자해(자살)’로 나타났습니다. OECD 통계에서도 우리나라는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2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부동의 1위, 그것도 2,3위의 국가와 압도적인 차이를 둔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OECD 35개국 만 15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삶의 만족도’ 조사에서도 우리나라는 최하위권을 차지하고 있는데, 실제로 서울대병원의 조사에 의하면 서울에 거주하는 중학생 4명 중 1명은 우울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결과들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우울한 대한민국’의 현실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어 우리 모두를 안타깝게 합니다.

1. 청소년 우울증의 특성
① 반항 행동, 음주 행동, 가출 등 충동성과 품행 문제가 흔합니다. 물론 이런 모습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적대적반항장애, 품행장애에서도 공통적으로 보일 수 있고 공존할 수도 있습니다.
② 성적 저하, 학교 부적응, 또래 관계 어려움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스스로 우울하 다고 표현하지 않아도 학교생활에서 기능저하를 보이는 아이들은 주의 깊게 관찰 할 필요가 있습니다.
③ 가족들에 대한 적대감, 사회적 위축, 자신감 저하 등의 모습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 또는 이성친구 등 친밀한 관계에서 사소한 말에도 쉽게 상처입고 거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④ 과도한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게임에의 몰입은 학교에서의 낮은 성취뿐만 아니라 우울감, 불안과도 관련되어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⑤ 정서 표현 및 신체 증상
성인의 경우에는 우울감이 주된 호소일 수 있으나, 청소년의 경우에는 짜증과 분노가 주된 정서 표현일 수 있고 두통, 복통 등 신체증상 또한 주된 호소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인지가 필요합니다.
2. 청소년 우울증의 증상
① 사춘기 청소년들은 정상적으로도 전과 달리 분노와 짜증을 더 많이 표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짜증과 반항행동의 강도와 빈도가 심하여 폭력 행동 등 가정의 안녕이 와해되고 가족들에게 위협이 될 정도라면 단순한 사춘기 현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② 감정조절의 어려움과 충동적인 행동의 정도가 심하여 빈번한 가출과 자해 행동, 자살 위협 등의 행동을 보일 경우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③ 또래 관계의 갈등과 어려움이 지속적이고 학업 성적 하락, 잦은 지각과 결석 등 학교생활 기능이 장기간 저하될 경우에도 우울증을 고려해야하는 신호입니다.

1. 청소년 우울증의 특성
① 반항 행동, 음주 행동, 가출 등 충동성과 품행 문제가 흔합니다. 물론 이런 모습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적대적반항장애, 품행장애에서도 공통적으로 보일 수 있고 공존할 수도 있습니다.
② 성적 저하, 학교 부적응, 또래 관계 어려움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스스로 우울하 다고 표현하지 않아도 학교생활에서 기능저하를 보이는 아이들은 주의 깊게 관찰 할 필요가 있습니다.
③ 가족들에 대한 적대감, 사회적 위축, 자신감 저하 등의 모습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 또는 이성친구 등 친밀한 관계에서 사소한 말에도 쉽게 상처입고 거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④ 과도한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게임에의 몰입은 학교에서의 낮은 성취뿐만 아니라 우울감, 불안과도 관련되어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⑤ 정서 표현 및 신체 증상
성인의 경우에는 우울감이 주된 호소일 수 있으나, 청소년의 경우에는 짜증과 분노가 주된 정서 표현일 수 있고 두통, 복통 등 신체증상 또한 주된 호소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인지가 필요합니다.
2. 청소년 우울증의 증상
① 사춘기 청소년들은 정상적으로도 전과 달리 분노와 짜증을 더 많이 표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짜증과 반항행동의 강도와 빈도가 심하여 폭력 행동 등 가정의 안녕이 와해되고 가족들에게 위협이 될 정도라면 단순한 사춘기 현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② 감정조절의 어려움과 충동적인 행동의 정도가 심하여 빈번한 가출과 자해 행동, 자살 위협 등의 행동을 보일 경우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③ 또래 관계의 갈등과 어려움이 지속적이고 학업 성적 하락, 잦은 지각과 결석 등 학교생활 기능이 장기간 저하될 경우에도 우울증을 고려해야하는 신호입니다.